안녕하세요
디비보 입니다.
글을 올리다 보니 내 블로그가 PC와 모바일에서 어떻게 보이는지 궁금해졌습니다.
주로 PC에서 작업하다 보니 어제는 모바일로 접속해보았습니다.
그런데 유난히 느리게 표시되더라고요.
혹시 몰라 최적화된 다른 분들 블로그에 접속해보았습니다.
속도에서 확연하게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.
사이트 최적화가 필요한 순간입니다.
구체적인 수치로 알 수 있을까요?
알 수 있습니다.
구글이 제공하는 PageSpeed Insights를 통해서 말입니다.
https://developers.google.com/speed/pagespeed/insights/?hl=ko
해당 페이지에 접속, 본인의 블로그 주소를 넣고 분석을 누릅니다.
분석 중이라는 표시와 함께 막대 바가100%에 도달하면 결과를 보여줍니다.
모바일과 PC 접속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저는 모바일에서 60, PC에서 89가 나왔습니다.
속도만 안다고 해결되는 것은 아니지요.
이 도구의 장점은 어떤 점 때문에 속도가 느려지는지 확인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.
바로 추천 탭입니다.
여기서 현재 속도를 저하시키는 구체적인 요소를 볼 수 있습니다.
제 경우 크게 3가지 요소가 있었고, 그 부분을 해결하니 지금은 모바일 75, PC 93이 되었습니다.
티스토리를 쓰고 계신 분 들에 는 제 해결방법이 도움이 될 것 같아 제가 수정했던 내용을 말씀드리겠습니다.
스킨을 최신것으로 변경합니다. |
저는 2017년에 제공된 스킨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.
티스토리에 블로그 관리 화면에서 꾸미기텝에 있는 스킨 변경을 누릅니다.
스킨 목록에서 정렬을 최신순으로 바꾸어줍니다.
스킨 변경을 오래도록 하지 않으신 분들은 이것만으로 속도가 올라갑니다.
단 주의사항이 있습니다.
스킨을 바꾸시면, 최적화시 HTML이 리셋됩니다.
최적화를 위한 META태그 작업을 다시 하셔야 합니다..
“그 번거로운 작업을 다시 해야 하나?”
저는 다시 하시길 권합니다.
왜냐하면 제 경우 초반에 실험하느라 넣어두었던 태그들도 정리되는 효과를 보았습니다.
또한 제 경우 검색도구 매타 태그 위치를 타이틀 바로 앞줄로 옮겼습니다.
이것으로 속도가 개선되는 것을 보았습니다.
이미지를 변경합니다. |
제 블로그에는 PNG나 BMP형식의 대용량 파일들이 있었습니다.
용량이 클수록 읽어 들이는데 시간이 걸리는 것은 당연합니다.
구글은 JPEG 2000, JPEG XR과 같은 압축률이 높은 즉 화질 대비 용량이 적은 이미지로 교체하기를 권합니다.
(참고로 JPEG 2000의 단점을 개선한 것이 XR입니다.
다만 호환성은 2000이 유리합니다.)
저는 큰 용량을 차지하는 사진을 이미지를 삭제하거나 변경하였습니다.
그 결과가 속도가 올라갔습니다.
최적화 합니다. |
앞서 말씀드린 것처럼, 스킨을 변경하면 최적화를 위해 다시 사이트맵을 제출하게 됩니다.
처음 등록했을 당시와 지금 블로그에 변경사항이 많을 수 있습니다.
글을 삭제하거나 수정하는 경우가 있으니까요.
다시 최적화를 할 경우, 이 변경사항을 반영하여 등록하게 됩니다.
그만큼 AI 봇이 찾기 쉽게 다시 맵핑을 해 주는 것이지요.
속도도 올라가고 검색에도 도움을 주는 것입니다.
정리합니다.
1. 스킨을 최신 것으로 사용합니다.
2. 이미지를 압축율이 좋거나 저용량인 것으로 변경합니다.
3. 최적화합니다.
'배움과 경험을 공유합니다. > 블로그를 배우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블로거에게도움되는사이트 (0) | 2020.09.03 |
---|---|
에드센스실험중 - 2년동안 방치된 블로그로 10일만에 승인받기 (0) | 2020.09.02 |
비기너 블로거의 시간을 줄여주는 도구들.. (0) | 2020.08.28 |
비기너 블로거들을 위한 글쓰기 속도 UP!! (0) | 2020.08.27 |
네이버 블로그를 구글검색에 등록해보자. (0) | 2017.02.28 |
댓글